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참여+나눔 더불어 사는 따뜻한 부평 부평구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일반자료실

인쇄하기

  1. HOME
  2. 열린마당
  3. 일반자료실

생태주거단지의 가치는 시민참여로

  • 작성자
    관리자(부평의제21실천협의회)
    작성일
    2008년 9월 2일(화)
  • 조회수
    537
생태주거단지의 가치는 시민참여로

박병상 인천 도시생태 환경연구소장

7년 전, 독일의 생태주거단지를 돌아보았다. 그런데 이상했다. 갓 입주한 주택의 지붕에 풀이 돋았다. 이른바 ‘지붕녹화’였는데 무척 이채로웠다. 지붕녹화는 독일 어디든 이어졌다. 새로 짓는 건물은 물론이고 기존 건물의 옥상에도 풀을 심었는데, 연방정부가 개최하는 정원전시회장은 옥상녹화의 방법을 소개하고 있었다. 건물로 사라진 녹지를 조금이라도 확보하려는 의지라던데, 지붕만 녹화된 게 아니었다. 많은 주차장에 잔디블록을 깔았으며 전철의 레일 사이에도 풀을 심어놓았다.

이번 여름도 남부 독일의 도시들을 둘러보았다. 7년 전 대부분의 독일인도 생소해 했던 지붕녹화는 일상화한 느낌이었다. 녹화된 지붕이 늘었기 때문이 아니다. 지붕녹화를 시민들이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는 거다. 독일에서 주거단지를 새로 조성할 경우, 2층 이하 주택의 지붕은 반드시 녹화하고 3층 이상에는 태양광 패널을 달도록 규정한다고 한다. 이쯤 되면 독일의 주거단지는 모두 생태주거단지인 셈이다.

독일의 생태주거단지는 그 정도에서 그치지 않는다. 단지 내 자동차 출입을 엄격히 제한하는 대신 보행과 자전거 통행을 적극 도모하고, 입주 전에 전철을 개통해 자동차가 없어도 불편하지 않는 주거생활을 보장한다. 강수량이 우리의 3분의2에 불과하고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독일은 빗물 관리가 철두철미하다. 대부분의 빗물이 단지 내에서 지하로 침투할 수 있도록 설계했으며 허드렛물은 빗물을 정화해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생태주거단지의 주제는 독일에서 단연 ‘녹색’이다. 지붕녹화, 재생 가능한 에너지 활용, 빗물 재활용, 자동차보다 자전거, 폐기물 재활용과 같은 녹색 개념에 충실한 주거단지는 온통 나무와 풀로 덮였다. 단지의 3분의1 이상을 녹지로 조성하지만 입주민이 주택의 앞뒤는 물론 베란다와 옥상에도 나무와 풀을 심었고, 관광서와 상가도 뜰과 지붕을 녹화했으니 단지 면적의 절반 이상이 녹지다. 하지만, 독일의 생태주거단지에서 가장 중요하고 인상적인 ‘녹색’은 규정이 아니라 시민참여였다. 시민들의 참여와 요구를 행정당국에서 적극 지원하며 받아들인 결과 생태주거단지의 개념과 제도가 그렇게 정비되어다는 사실이었다.

최근 인천은 공공건물의 옥상을 녹화하고 민간건물은 사업비를 지원해 녹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옥상에 나무와 풀을 심으면 건물의 냉난방 비용이 줄고 도시는 그만큼 시원해진다.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덮인 도시의 대기는 자동차와 건물에서 내뿜는 대기가스로 덥고 지저분하다. 그래서 ‘열섬화 현상’을 완화해주는 숲의 가치는 도시에서 중요하다. 지붕녹화는 나무의 역할을 대신한다. 지붕이 녹화된 학교와 관공서는 학생과 시민의 의식을 전환해주어 주택의 지붕녹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때를 같이 해, 한국토지공사는 검단신도시에 ‘제로에너지타운’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탄소 저감형 도시설계 기준’이 적용되는 검단신도시의 3천 가구를 에너지 절약형으로 지어 태양광, 풍력, 지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공급하고 대중교통을 10분 이내에 이용할 수 있도록 꾸미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른바 ‘탄소 중립형 도시’다. 보름 만에 다시 만난 인천의 더위는 새삼 참기 어려웠다.

독일의 기온도 요즘 온난화 때문인지 섭씨 35도를 웃돌지만, 피부에 느끼는 더위는 우리와 사뭇 다르다. 아무리 더워도 그늘에 들어가면 시원하고, 공기의 냄새가 불쾌하지 않다. 도심에 울창한 숲이 넘치기 때문이리라.

인구밀도가 낮고 평지에 가까운 독일은 우리와 조건이 많이 다르다. 경험이 축적된 독일처럼 철저한 생태주거단지를 처음부터 조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생태주거단지의 가치와 필요성을 시민들이 공유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민들이 원해야 생태주거단지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왕 조성하는 생태주거단지와 옥상녹화를 기획에서 조성 과정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실행하기를 인천시와 한국토지공사에 부탁한다.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부평구 지속가능발전협의회
  • 담당팀 : 부평구 지속가능발전협의회
  • 전화 : 032-509-6065

만족도 평가

결과보기